양돈장 에어로졸 시료 채취 및 항생제 내성 분석 가이드라인 표지
부산--(뉴스와이어)--국내 최초로 양돈장 에어로졸 항생제 내성 문제 극복을 다룬 가이드라인이 5월 15일 정식 발간됐다.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환경공학과, 농림축산검역본부 세균질병과와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전략기획과 및 낙동강물환경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양돈장 에어로졸 시료 채취 및 항생제 내성 분석 가이드라인’은 항생제 내성균 확산으로 인한 공중보건 위기 극복 및 지속 가능한 축산업을 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이로써 한국도 양돈장 에어로졸 항생제 내성 문제를 과학적 방법에 근거해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과 대응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하게 됐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양돈장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공기 중 미생물)을 통한 내성균 확산, 즉 ‘Silent pandemic(조용한 대유행)’을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설계됐다. 에어로졸 시료 채취 표준은 양돈장 내 공기 중 내성균을 정확히 포집할 수 있는 채취 시간과 최적 위치를 명시해 데이터 신뢰도를 극대화했다. 여기에 최신 분자생물학 기법을 활용해 정밀 분석 프로토콜을 제공해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정량화와 항생제 내성균의 패턴을 파악해 신속하게 오염 현황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추진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이 가이드라인은 양돈장 에어로졸 항생제 내성균 확산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2년에 걸친 치밀한 연구 끝에 완성된 이 가이드라인은 한국 양돈 환경에 맞춘 맞춤형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국제 유명 SCIE저널인 ‘Environmental Technology & Innovation’에 해당 가이드라인 방법을 이용한 연구 결과가 게재돼 실효성을 입증했다.
해당 과제의 연구책임자인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환경공학과 유근제 교수는 “항생제 내성은 환경 보건을 위협하는 글로벌 위기다. 특히, 에어로졸에 존재하는 항생제 내성균을 검출하는 국제 표준이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에 이번 가이드라인을 통해 축산 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한국이 세계 항생제 내성 대응의 선두에 서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이 가이드라인은 단순한 표준 방법이 아닌 양돈 산업과 공중보건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필수 로드맵이며, 심각해지는 항생제 내성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자세한 가이드라인 내용은 국회도서관 공식 웹사이트(https://www.nanet.go.kr/main.do)에서 확인할 수 있다.